일시: 2025년 11월 21일(금) ~ 11월 23일(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연송홀 후원: 단국대학교 메카노바이올로지 치의학연구센터, 인천테크노파크 |
11월 21일(금) 프로그램 일정 | |
---|---|
16:00~17:00 | AI를 이용한 구강악안면 재생 (Invitation only) |
17:00~18:00 | 대한치과재료학회 이사 및 임원회의 |
18:30~20:30 | 간친회 |
11월 22일(토) 프로그램 일정 | |
등록 및 개회식 사회: 이정환 (단국대) | |
9:20~9:30 | 2025년 대한치과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 개회사회장 배지명 (원광대) |
구두 발표좌장: 홍민호 (강릉원주대) | |
9:30~11:20 | Oral Presentation |
고별 강연좌장: 회장 배지명 (원광대) | |
11:30~12:00 | 최한철 교수님 |
포스터 발표 및 점심좌장: 문원준 (서울대) | |
12:00~13:00 | Poster Presentation 및 점심 (제공) |
특별강연 I좌장: 회장 배지명 (원광대) | |
13:00~14:00 | Satoshi Imazato 교수 (Osak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
“Smart bio-active materials: Shaping the future of dental biomaterials” | |
특별강연 II좌장: 김해원 (단국대) | |
14:00~15:00 | 이정환 교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및 조직재생공학연구원) |
“Mechanobiology in Dentistry” | |
시상 및 정기총회 | |
15:00~16:00 | 우수 구연 및 포스터 시상 / 정기총회 |
국산의료기기 교육훈련 지원사업 (인천테크노파크) | |
16:00~18:00 | 마루치 핸즈온 강의 및 실습 “고활성 바이오세라믹의 물리적 생물학적 특징” |
11월 23일(일) 프로그램 일정 | |
심포지움사회: 오승한 (원광대) | |
10:00~12:00 | 메카노 반응 재료를 이용한 구강악안면 재생 (Invitation only) |
12:00 | 폐회 |
Destruction and resorption of the alveolar bone rapidly occur within 6 months after tooth loss due to trauma or periodontal disease, and this irreversible alveolar bone resorp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future implant placement. Additionally, insufficient alveolar ridge width and height may affect the long-term prognosis of the dental implant. Complete reconstruction of the resorbed alveolar ridge is the goal that clinicians strive to achieve before and after implant placement for predictable implant therapy.
For this purpose, various surgical methods are being introduced, such as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a shielding membrane, bone grafting without using the membrane, alveolar ridge split expansion surgery, and alveolar bone distraction, etc.
Bone augmentation using particulate bone is a less invasive and less time-consuming surgery than other alveolar bone augmentation surgeries.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alveolar ridge using an resorbable membrane and particulate bone shows promising results for horizontal defects in a form that maintains good spa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vertical defects whe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pace, better results can be obtained by using a non-resorbable membrane (Ti-mesh or Ti-reinforcement membrane) and using a bone graft material that resists resorption.
In particular, vertical bone augmentation surgery has hig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an horizontal bone augmentation surgery, and various factors must be considered for successful vertical bone augmentation surgery. For this reason, rather than choosing vertical bone augmentation for alveolar bone with vertical defects, many clinicians choose to place a short implant in the area or omit implant placement and perform pontic treatment. Nevertheless, in the case of full mouth implant placement, the vertical position of successive implants must be adjusted for the long-term prognosis of the implant, and for this purpose, not only horizontal bone augmentation but also vertical bone augmentation is often necessary.
In this lecture, we learn about predictable horizontal and vertical bone augmentation methods using particulate bone when considering full mouth implants, and discuss clinical considerations during surgery based on long-term observation results.
우리나라 서양 치의학의 효시라고 하면 불행하게도 일제 강점기 일본인 치과 의사 노다 오지(野田應治)가 1893년 한성에 노다 치과의원을 개원한 것이었습니다. 한국인으로는 일본인 입치사로부터 서양치과의술을 습득한 최승룡(崔承龍)으로 1907년에 서울 종로에 치과전문이라는 간판을 걸고 서양 치과의술에 의한 시술소를 개설한 것이 최초였으나, 정식 한국인 치과의사로서는 일본치과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함석태(咸錫泰)로 1914년 서울에서 한성치과의원을 개원하여 치과 및 구강외과 2과목을 표방하여 치과 진료를 하였습니다. 미국인 치과의사로는 1910년을 전후하여 David Edward Hahn이 한국에서 진료를 하였다고 하나 자세한 기록은 없고, 기록 상으로는 미국인 치과의료선교사인 W.J. Scheifley로 1915년 세브란스병원에 부임하여 치과를 외과에서 독립시키고 본격적인 서양치의학의 강의와 진료를 시작하였습니다.
1900년대 초 일본인 입치사들의 진료와 미국 치과의사들의 진료의 차이는 치과재료와 기자재의 차이로서 세브란스 병원 치과에서는 Carmichel three quarter crown, gold inlay 등 왁스소실법을 이용한 주조 수복 및 전치부의 porcelain crown 시술 등을 하였고, Hanau articulator를 이용하여 총의치를 제작했습니다. 이렇게 치과의료의 발전은 치과재료 및 기자재의 발전과 맥을 같이 합니다.
본 발표에서는 치과재료의 역사에 대해서 되짚어 봄으로써 미래 치과의료의 방향을 생각할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