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2024년 11월 22일(금), 서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이종각 세미나실 |
11월 22일(금) 프로그램 일정 | |
---|---|
심포지움 사회: 오승한(원광대) | |
16:00~17:30 | 디지털 치과 혁신-첨단 치과재료와 미래의 치료 접근법(Invitation only) |
17:30~18:00 | 대한치과재료학회 이사 및 임원회의 |
일시: 2024년 11월 23일(토), 오스템 임플란트 마곡사옥 4층 대강당 |
11월 23일(토) 프로그램 일정 | |
---|---|
등록 및 개회식 사회: 오승한(원광대) | |
9:30~9:40 | 2024년 대한치과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 개회사 회장 양형철(서울대) |
구두 발표 좌장: 정신혜(서울대) | |
09:40~11:30 | Oral Presentation (이종렬 학술상 경연대회 포함) |
정기총회 사회: 오승한(원광대) | |
11:30~11:50 | 대한치과재료학회 정기총회 |
11:50~13:00 | 점심시간 및 스폰서 온라인 부스 |
포스터 발표 좌장: 홍민호(강릉원주대) | |
13:00~14:00 | Poster Presentation |
고별강연 I 좌장: 배지명(원광대) | |
14:00~14:50 | 임범순 교수님 고별강연 |
“치과용 재료의 발전 동향과 개인 연구과제 관심사 변화” | |
송호준 교수님 고별강연 | |
“인공지능 딥러닝을 이용한 치과 영상 진단 및 분석 프로그램 개발” | |
14:50~15:00 | Coffee Break |
특별강연 I 좌장: 양형철(서울대) | |
15:00~16:00 | 김해원 교수(단국대) |
“Role of matrix mechanics and forces in tissue healing and disease progress” | |
권일근 교수(경희대) | |
“치조골재생을 위한 천연물기반 바이오잉크의 개발과 3D 바이오프린팅” | |
특별강연 II 좌장: 배지명(원광대) | |
16:00~17:00 | 배태성 교수(전북대) |
“표면처리가 젖음성에 미치는 영향” | |
이해형 교수(단국대) | |
“최신 CAD/CAM 풀지르코니아의 소개와 파절 원인” | |
17:00~17:10 | Coffee Break |
특별강연 III 좌장: 정신혜(서울대) | |
17:10~18:10 | 오승한 교수(원광대) |
“치과용 의료기기 국제표준의 개요 및 최신경향” | |
이인복 교수(서울대) | |
“근관치료 재료의 생체역학적 특성화를 위한 실험 플랫폼” | |
특별강연 IV 좌장: 홍민호(강릉원주대) | |
18:10~19:10 | 조기호 교수(Hong Kong University) |
“Advancing Personalized Medical Implants with 3D-Printed Polymer Biocomposites” | |
최성환 교수(연세대) | |
“심바이오머란?” | |
시상 및 폐회식 사회: 권일근(경희대) | |
19:10-19:30 | 이종률 학술상 / 구두 및 포스터 시상 |
19:30 | 폐회 및 간친회 |
특별강연 I-1 좌장: 양형철(서울대) | “Role of matrix mechanics and forces in tissue healing and disease progress”김해원 교수(단국대학교 치과대학) |
---|---|
특별강연 I-2 좌장: 양형철(서울대) | “치조골재생을 위한 천영물기반 바이오잉크의 개발과 3D 바이오프린팅”권일근 교수(경희대학교 치과대학) |
특별강연 II-1 좌장: 배지명(원광대) | “표면처리가 젖음성에 미치는 영향”배태성 교수(전북대학교 치과대학) |
특별강연 II-2 좌장: 배지명(원광대) | “최신 CAD/CAM 풀지르코니아의 소개와 파절 원인”이해형 교수(단국대학교 치과대학) |
특별강연 III-1 좌장: 장신혜(서울대) | “치과용 의료기기 국제표준의 개요 및 최신경향”오승한 교수(원광대학교 치과대학) |
특별강연 III-1 좌장: 장신혜(서울대) | “근관치료 재료의 생체역학적 특서오하를 위한 실험 플랫폼”이인복 교수(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특별강연 IV-1 좌장: 홍민호(강릉원주대) | “Advancing Personalized Medical Implants with 3D-Printed Polymer Biocomposites”조기호 교수(Faculty of Dentistry The University of Hong Kong) |
특별강연 IV-2 좌장: 홍민호(강릉원주대) | “심바이오머란?”최성환 교수(연세대학교 치과대학) |
Date: November 22 (Friday) 2024, Dental Hospital 5th floor Seminar Room Seoul National University |
November 22 (Friday) Program | |
---|---|
Symposium Moderator: Seunghan Oh (WKU) | |
16:00~17:30 | Digital Dental Innovation - Advanced Dental Materials and the Future of Care Approaches (Invitation only) |
17:30~18:00 | Board and Executive meetings of KSDM |
Date: November 23 (Saturday) 2024, Osstem Implant Magok 4th floor Auditorium |
Destruction and resorption of the alveolar bone rapidly occur within 6 months after tooth loss due to trauma or periodontal disease, and this irreversible alveolar bone resorp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future implant placement. Additionally, insufficient alveolar ridge width and height may affect the long-term prognosis of the dental implant. Complete reconstruction of the resorbed alveolar ridge is the goal that clinicians strive to achieve before and after implant placement for predictable implant therapy.
For this purpose, various surgical methods are being introduced, such as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a shielding membrane, bone grafting without using the membrane, alveolar ridge split expansion surgery, and alveolar bone distraction, etc.
Bone augmentation using particulate bone is a less invasive and less time-consuming surgery than other alveolar bone augmentation surgeries.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alveolar ridge using an resorbable membrane and particulate bone shows promising results for horizontal defects in a form that maintains good spa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vertical defects whe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pace, better results can be obtained by using a non-resorbable membrane (Ti-mesh or Ti-reinforcement membrane) and using a bone graft material that resists resorption.
In particular, vertical bone augmentation surgery has hig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an horizontal bone augmentation surgery, and various factors must be considered for successful vertical bone augmentation surgery. For this reason, rather than choosing vertical bone augmentation for alveolar bone with vertical defects, many clinicians choose to place a short implant in the area or omit implant placement and perform pontic treatment. Nevertheless, in the case of full mouth implant placement, the vertical position of successive implants must be adjusted for the long-term prognosis of the implant, and for this purpose, not only horizontal bone augmentation but also vertical bone augmentation is often necessary.
In this lecture, we learn about predictable horizontal and vertical bone augmentation methods using particulate bone when considering full mouth implants, and discuss clinical considerations during surgery based on long-term observation results.
우리나라 서양 치의학의 효시라고 하면 불행하게도 일제 강점기 일본인 치과 의사 노다 오지(野田應治)가 1893년 한성에 노다 치과의원을 개원한 것이었습니다. 한국인으로는 일본인 입치사로부터 서양치과의술을 습득한 최승룡(崔承龍)으로 1907년에 서울 종로에 치과전문이라는 간판을 걸고 서양 치과의술에 의한 시술소를 개설한 것이 최초였으나, 정식 한국인 치과의사로서는 일본치과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함석태(咸錫泰)로 1914년 서울에서 한성치과의원을 개원하여 치과 및 구강외과 2과목을 표방하여 치과 진료를 하였습니다. 미국인 치과의사로는 1910년을 전후하여 David Edward Hahn이 한국에서 진료를 하였다고 하나 자세한 기록은 없고, 기록 상으로는 미국인 치과의료선교사인 W.J. Scheifley로 1915년 세브란스병원에 부임하여 치과를 외과에서 독립시키고 본격적인 서양치의학의 강의와 진료를 시작하였습니다.
1900년대 초 일본인 입치사들의 진료와 미국 치과의사들의 진료의 차이는 치과재료와 기자재의 차이로서 세브란스 병원 치과에서는 Carmichel three quarter crown, gold inlay 등 왁스소실법을 이용한 주조 수복 및 전치부의 porcelain crown 시술 등을 하였고, Hanau articulator를 이용하여 총의치를 제작했습니다. 이렇게 치과의료의 발전은 치과재료 및 기자재의 발전과 맥을 같이 합니다.
본 발표에서는 치과재료의 역사에 대해서 되짚어 봄으로써 미래 치과의료의 방향을 생각할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